728x90

전체 글 122

데이터 수집 관련 사이트 모음

데이터가 돈이 되는 시대에서 데이터 수집은 생각보다 규제가 많습니다. 때문에 데이터를 수집하더라도 2차 창작이 가능한지 등 라이센스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통계자료의 경우 의견제시의 근거로도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아래 사이트들은 한번쯤 봐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1. 공공데이터포털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통계청 등과 연계되어있는 사이트로 파일데이터나 오픈 API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받을 수 있음 오픈 API의 경우 XML, JSON, CSV 형식으로 제공 https://www.data.go.kr/ 공공데이터 포털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11956호)』에 따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Dat..

기타 2021.10.08

[정보처리기사] 4.서버 프로그램 구현

01 개발환경 구축 1. 개발환경 구축 1.1 개발환경 구축의 개념 : 시스템 요구사항의 명확한 이해 필요 개발 도구와 서버의 선정이 이루어지고 개발에 사용되는 도구들의 사용 편의성과 성능, 라이선스 확인 1.2 개발 도구의 분류 1) 빌드 도구 : 작성한 코드 빌드, 배포를 수행 2) 구현 도구 : 코드 작성과 디버깅, 수정 등의 작업 지원 3) 테스트 도구 : 코드의 기능 검증, 품질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 4) 형상 관리 도구 : 코드, 리소스 등 산출물에 대한 버전 관리를 위한 도구 1.3 개발환경 구성 1) 하드웨어 개발환경 서버 하드웨어 개발 환경 - 웹서버 : HTTP를 이용한 요청/응답 처리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 동적 콘텐츠 제공 - 데이터베이스 서버 : 데이터 수집,저장 - 파..

[정보처리기사] 3.통합 구현

01 연계 데이터 구성 1. 연계 요구사항 분석 1.1 연계 요구사항 분석의 개념 :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장치,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연계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 분석 기법 : 인터뷰, 체크리스트, 설문지, 델파이 기법, 브레인스토밍 분석 참고 문서 : 코드 정의서, 테이블 정의서, 응용 프로그램 구성도, 시스템 구성도 1.2 연계 요구사항 분석 참고문서 1) 개체 정의서 데이터베이스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명세화한 정의서 2) 테이블 정의서 논리,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 컬럼의 특성(컬럼명, 데이터 타입, 길이, 널 여부, 키 여부, 디폴트 값 등), 인덱스, 업무 규칙을 문서화 3) 인터페이스 명세서 인터페이스 정의서에 작성..

[정보처리기사] 2.데이터 입출력 구현

01 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 1. 논리 데이터 모델 검증 1.1 논리 데이터 모델링 개념 : 비즈니스 정보의 구조, 규칙 표현할 수 있는 기법 1.2 논리 데이터 모델링 특성 정규화 : 모든 데이터를 정규화하여 모델링 포용성 : 모든 엔티티 타입, 속성, 관계, 프로세스 포함 완전성 : 모든 규칙과 관계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표현 독립성 : 성능, 제약사항에 독립적인 모델 1.3 논리 데이터 모델링 속성 개체 : 관리할 대상이 되는 실체 속성 : 관리할 정보의 구체적 항목 관계 : 개체 간 대응 관계 1.4 개체-관계 모델 1) 개체-관계(E-R) 모델 개념 : 정보를 개체, 속성, 관계로 기술한 모델 2) 개체-관계(E-R) 다이어그램 기호 1.5 정규화 1) 정규화의 개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에..

[정보처리기사] 1. 요구사항 확인

01 현행 시스템 분석 1. 현행 시스템 분석 1.1 현행 시스템 파악 현행시스템 파악 : 시스템의 구성과 제공 기능, 연계 정보, 기술 요소에 대해 파악 사용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네트워크 구성 파악 1.2 현행시스템 파악 절차 1) 구성/기능/인터페이스 파악 구성 - 주요 업무를 처리하는 기간 업무/지원 업무로 구분지어 파악 > 정보시스템의 명칭,주요 기능 명시 > 모든 정보시스템의 현황 파악이 가능하도록 기능 - 단위 업무 시스템이 현재 제공하는 기능 파악 > 단위 업무 시스템 기능을 주요 기능/하부 기능으로 구분하여 계층형으로 표시 인터페이스 - 단위 업무 시스템이 타 시스템과 통신하는 데이터 종류, 형식, 프로토콜, 연계유형, 주기 파악 > 데이터 형식,통신규약,연계유형 2) 아키텍처 및 소프트..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계획, 게시물 링크 모음

후..정보처리기사 실기 D-14일이네요 여태 책 한 번도 안펼쳐보다가 더이상 미룰수는 없다고 생각해서 지킬 지 미지수일 계획을 세워보려합니다. 아마 1회독을 간당간당하게 할 거 같고 정리할 수 있는만큼 정리하고 피지컬로 덤벼보지않을까싶은데 블로그에 정리하는 글들 링크 따라서 차례대로 볼 수 있도록 아래에 링크를 계속 업데이트하겠습니다. 계획.. 2주 남은 시점인데 사실 그 사이에 2박 3일 여행 계획도 있다는 함정이 있는..그런... 그래서 시험 2일 전부터는 2021년도 기출문제를 푸는게 나을 것 같다는 판단하에 대략 9일간의 계획을 한 번 세워보겠습니다. SQL이랑 프로그래밍 쪽은 전체적으로 훑고 유의할 점만 익히면 될 것 같아서 이쪽은 틈틈히 보는 걸로 빼두고 하루에 한 캡터씩 정리하면 될 것 같네..

유용한 사이트 모음(트렌드 분석,이미지 편집)

최근 Digital Transformation에 대한 강의를 들으면서 몇몇 사이트를 방문했는데 이전에 졸업작품을 진행할 때 도움받았던 사이트도 있어서 유사 사이트를 포함해서 간단히 소개해드리려합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낼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디어이고 아이디어의 방향성을 잡는데에 트렌드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또한 발표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올바르게 PR하는 것 또한 중요한 일이기에 이미지,영상을 다루는 방법도 익히길 바랍니다. 1. 트렌드 분석 1) 네이버 데이터랩 - 네이버 검색어 기반으로 검색 트렌드 분석 https://datalab.naver.com/ 네이버 데이터랩 네이버의 검색 트렌드 및 급상승검색어 이력, 쇼핑 카테고리별 검색 트렌드 제공 datalab.naver.com 2) 구글 트..

기타/잡담 2021.09.30

[GIT] Git bash 명령어 모음

간만에 깃을 쓰려니 별게 다 기억이 잘 안난다. 모든 명령어는 깃에 올릴 폴더에서 사용해야한다. 먼저 Git을 쓰는 이유는 버전관리, 협업이기 때문에 내 코드를 잘 쪼개서 커밋하고 팀원들과 코드를 공유하며 하나의 작업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시작하자. Git은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로 나뉘고 로컬에서 작업한 내용을 로컬 저장소에서 관리한 후 이 중 공유하고싶은 내용을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push)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모든 단계가 중요하지만 특히 커밋은 변경 사항에 대한 이력, 즉 로그를 남겨두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내용을 수정했는지 유추할 수 있도록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에 깃을 쓸 때는 어렵지만 전체적인 흐름을 잘 이해한다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기 설정..

개발일지/GIT 2021.09.17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란? (기사시험 소개 및 신청방법)

뜬금없지만 취준 때 정처기 취득을 안하고 바로 취업이 되어서 이제라도 실기 시험을 신청하는 김에 신청방법과 부가적인 정보를 공유해봅니다. 1. 설명 먼저 정보처리기사는 1년에 3회, 필기와 실기 2번 진행됩니다. 자격요건 때문에 일반적으로 컴퓨터공학과 4학년 때 취득을 하는 편이고 가능하면 1회차부터 시험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시험 응시 후 결과 발표까지 시간이 꽤나 걸리기 때문에 하반기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 2회차 내로 합격해야 8월중에 합격발표가 나서 기사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0년 개정 후 난이도가 상승하였고 기출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도 6회분(20년도에는 코로나로 인해 4회 시행됨)밖에 없어서 과락의 위험이 있습니다. 2021년도 기사 3회차 시험일정 예시 2. 신청방법..

728x90
반응형